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1 )
    1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2 )
    2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3 )
    3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4 )
    4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5 )
    5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6 )
    6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7 )
    7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8 )
    8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9 )
    9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10 )
    10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11 )
    11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12 )
    12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13 )
    13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14 )
    14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15 )
    15



  • ̸
    15 Pg
    մϴ.
Ŭ : ũԺ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1 )
    1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2 )
    2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3 )
    3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4 )
    4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5 )
    5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6 )
    6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7 )
    7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8 )
    8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9 )
    9

  •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   (10 )
    10




  • (ū ̹)
    ̸
    10 Page
    մϴ.
Ŭ : ݱ
X ݱ
巡 : ¿̵

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

레포트 > 인문사회 ٷΰ
ã
Ű带 ּ
( Ctrl + D )
ũ
Ŭ忡 Ǿϴ.
ϴ ֱ ϼ
( Ctrl + V )
 : 월인천강지곡(중)+,+346-364+기말과제1.hwp   [Size : 46 Kbyte ]
з   20 Page
  6,000

īī ID
ٿ ޱ
ID
ٿ ޱ
̽ ID
ٿ ޱ


ڷἳ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四·十·씹六·륙
【본문】 其끵三삼百·四·十·씹七·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四·十·씹八·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四·十·씹九: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一·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二·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三삼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四·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五: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六·륙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七·칧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八·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九: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六·륙十·씹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六·륙十·씹一·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六·륙十·씹二·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六·륙十·씹三삼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六·륙十·씹四·
【현대역】
【주해】
【배경설화】
[참고 문헌]

/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四·十·씹六·륙
【본문】 其끵三삼百·四·十·씹七·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四·十·씹八·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四·十·씹九: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一·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二·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三삼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四·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五: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六·륙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七·칧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八·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五:十·씹九: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六·륙十·씹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六·륙十·씹一·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六·륙十·씹二·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六·륙十·씹三삼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六·륙十·씹四·
【현대역】
【주해】
【배경설화】
[참고 문헌]
/
[중세국어 자료 강독]
월인천강지곡(중) 346-364

?월인천강지곡(중) 346-364에 해당하는『월인석보』권20은 마하가섭이 석존으로부터 正法 傳持의 임무를 받게 된 인연과 사리불의 滅度에 관한 인연 등 제자들의 이야기와, 孝養에 대한 석존의 설법, 그리고 보시와 효양에 관한 본생담등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. 『대방편불보은경(大方便佛報恩經)』이 저경의 중심을 이루고 있고, 그 외에『태자수대나경(太子須大拏經)』·『경덕전등록(景德傳登錄)』·『불조통기(佛祖統紀)』·『전법정종기』등이 편입되어 있다.

【본문】其끵三삼百·?四·?十·씹六·륙
五:?趣·츙ㅣ 如?來?ㅅ 父:뿡母:?실·? 菩뽕提똉·? 일·우시·니 生?生? 劫·겁劫·겁·에 孝·?心심·이시·니
如?來? 五:?趣·츙ㅅ 父:뿡母:?ㅣ실·? 恩?惠·?·? ·펴시·니 劫·겁劫·겁 生?生?·애 慈?心심·이시·니

【현대역】
오취(五趣)가 여래(如來)의 부모(父母)이시므로 보리(菩提)를 이루시니, 생생(生生) 겁겁(劫劫)에 효심(孝心)이시니.
여래(如來)가 오취(五趣)의 부모(父母)이시므로 은혜(恩惠)를 펴시니, 겁겁(劫劫) 생생(生生)에 자심(慈心)이시니.

【주해】
? 일우시니 : 이루시니. 일-[成]+우(사동 접미사)+시+니.
? 보리(菩提) : 부처님의 깨달음. 깨달음의 지혜. ① 보디의 음역. 정각(正覺)의 지혜. 불(佛), 연각(緣覺), 성문(聲聞) 등이 각 각 그 능력에 따라 얻은 깨달음의 지혜. 그 중에서도 특히 석가모니의 깨달음을 ‘아뇩다라 삼막 삼보리’라고 하는데, 이는 더할 나위 없는 최상 최고의 깨달음이라는 뜻이다. 불교에서는 보리를 얻는 것은 삶을 완성하는 것이며, 더 이상 태어나지 않고 윤회의 흐름을 끊는 것이며, 일체지(一切智)를 얻어서 열반의 기쁨에 젖는 것이라 한다. [동의어] 각(覺), 지(智), 지(知), 도(道), 불지(佛智).
? 생생(生生) : 태어나는 생애마다. 여기서 생(生)은 ① 여러 …(생략)
강순애(2001), 『월인석보』권20, 아세아 문화사. pp1-128
허웅(1975), 우리 옛말본, 샘문화사.
유창돈(1964/2005), 이조어사전, 연세대학교출판부.
김기종(2006), 『월인천강지곡』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 연구,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.
김영배(2004), 『역주 월인석보』권 20, 세종대왕기념사업회. pp1-42.
남광우(1997), 교학 고어사전, 교학사
안병희․이광호(1990), 중세국어문법론, 학연사.

정우영((2002), ‘월인석보 권20의 어휘연구’, 「국어학」131, 국어국문학회. pp219-249.


ڷ
ID : khyu***
Regist : 2011-01-21
Update : 2011-01-21
FileNo : 11018389

ٱ

연관검색(#)
월인천강지곡   주해   강역   중세국어   현대역   배경설화   +346   364+기말과제1  


ȸҰ | ̿ | ޹ħ | olle@olleSoft.co.kr
÷Ʈ | : 408-04-51642 ֱ 걸 326-6, 201ȣ | ä | : 0561ȣ
Copyright ÷Ʈ All rights reserved | Tel.070-8744-9518
̿ | ޹ħ olle@olleSoft.co.kr
÷Ʈ | : 408-04-51642 | Tel.070-8744-9518